이재명 정부 규제 앞두고 '보험' 들었나? 쿠팡, 공무원 '싹쓸이' 영입
2025-07-04 10:23
이직자들의 면면을 살펴보면 쿠팡의 '전략적 영입' 의도는 더욱 명확해진다. 대통령실 선임 행정관(3급 상당)이 쿠팡 본사 상무로, 산업통상자원부 별정직 3급(장관 보좌관)이 본사 부장으로, 검찰청 7급이 쿠팡 부장으로 자리를 옮긴다. 특히, 플랫폼 규제의 핵심 기관인 공정거래위원회 4급 공무원은 쿠팡페이 전무로 직행할 예정이며, 경찰청 경위는 쿠팡풀필먼트서비스(CFS) 현장 관리자로, 고용노동부 6급은 쿠팡로지스틱스서비스(CLS) 부장으로 각각 재취업이 가능해졌다. 여기에 기획재정부 팀장(4급)까지 쿠팡 이직을 위한 심사를 앞두고 있어, 정부 주요 부처의 '쿠팡행 러시'는 당분간 계속될 전망이다.
특히, 공정위 출신 인사의 쿠팡행은 이번이 세 번째로, 과거 이숭규 전 카르텔총괄과장(쿠팡 전무)과 5급 사무관(쿠팡 상무)에 이어 꾸준히 이어지고 있다. 쿠팡은 지난해 자체 브랜드 상품 노출 알고리즘 조작 혐의로 공정위로부터 1628억 원이라는 사상 최대 과징금을 부과받고 현재 행정소송을 진행 중이다. 이러한 민감한 상황에서 공정위 출신 인사를 연이어 영입하는 것은 단순한 인력 충원을 넘어선 '방어적 전략'이라는 해석에 무게가 실린다.
이번 '쿠팡발 공무원 대이동' 현상이 정부의 플랫폼 규제 정책과 기업의 대관 활동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그리고 '전관예우' 논란을 넘어선 투명한 공직자 재취업 시스템 마련에 대한 사회적 요구로 이어질지 귀추가 주목된다.
기사 서동현 기자 seodongdong2@newsonu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