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약용이 '현산'이라 부른 그곳, 200년 뒤 한 사진작가가 포착한 '검은 눈물'
2025-11-18 18:01
다큐멘터리 사진가 노순택이 한국 사회의 첨예한 갈등 현장을 벗어나 멀고 짙은 섬, 흑산도로 향했다. 서울 사직동 ‘공간풀숲’에서 열리는 그의 개인전 ‘흑산, 멀고 짙고’는 흑백 필름에 담아낸 신작 80여 점을 통해 섬의 깊은 서사를 펼쳐 보인다. 1801년 정약전이 유배되었던 비극의 땅이자, 동생 정약용이 그 참담함을 위로하고자 신비로운 검정을 뜻하는 ‘현산(玆山)’이라 부르고자 했던 바로 그곳. 작가는 푸르다 못해 검푸른 바다 때문에 이름 붙여진 이 섬의 외형적 검정(黑)을 넘어, 그 안에 깃든 다층적인 삶과 시간의 흔적을 자신만의 시선으로 재해석하며 1만 5천 자에 달하는 작업 노트와 함께 관객에게 제시한다.전시의 중심에는 흑산도의 절경을 담은 ‘팔폭병풍’이 자리한다. 병풍처럼 길게 이어지면서도 각 폭이 독립된 장면으로 분절되는 이 작품은, 서로 연결되어 있으면서도 끝내 고립된 신안 바다 섬들의 숙명을 시각적으로 구현해낸다. 사진 속 흑산의 바다는 칠흑 같은 어둠과 거친 물살로 보는 이를 압도하지만, 그 모진 파도를 묵묵히 견뎌내는 검은 바위와 그 위에서 유유자적 노니는 새와 산양의 모습은 강인한 생명력과 경외감을 동시에 불러일으킨다. 작가는 망망대해 한가운데 선 섬의 풍광에서 시작해 그곳에 깃든 동물들의 삶으로 시선을 확장하며, 인간의 시선 너머에 존재하는 섬의 원초적 풍경을 그려낸다.

노순택은 ‘분단의 향기’, ‘비상국가’ 등의 작업을 통해 한국 사회의 이데올로기적 갈등을 집요하게 파고들어 온 사진가다. 2014년 사진작가 최초로 국립현대미술관 올해의 작가상을 수상하며 작품성을 인정받은 그가 이번에는 흑산도라는 구체적인 공간과 그곳 사람들의 삶 속으로 깊숙이 들어갔다. 그의 카메라는 단순히 섬의 아름다운 풍경이나 고단한 삶을 연민의 시선으로 담는 데 그치지 않는다. 대신 한평생 물질을 해온 노인과 잠시 머물다 떠나야 하는 이방인 노동자의 사연을 병치하며, 연결과 고립, 토착과 이주, 자연과 문명이 교차하는 ‘오늘의 흑산도’가 품은 복잡하고도 생생한 질문들을 우리에게 던지고 있다.
기사 황한결 기자 hangyeol_87@newsonu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