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저 정치' 논란은 이제 안녕? 尹 대통령, 11일에 서초동으로!
2025-04-09 10:53
현행법상 탄핵 파면된 전직 대통령의 관저 퇴거 시한은 명시되지 않았다. 하지만 박근혜 전 대통령이 파면 사흘 만에 사저로 복귀한 점을 고려하면, 윤 전 대통령의 엿새간 관저 체류는 다소 이례적이라는 평가다. 특히 관저에서 지지자 메시지를 내거나, 중진 의원들의 방문이 이어지면서 '관저 정치' 논란이 불거졌다. 이는 전직 대통령으로서 부적절하다는 비판과 함께, 국론 분열을 조장할 수 있다는 우려를 낳았다.
전직 대통령은 최대 10년간 대통령 경호처의 경호를 받는다. 경호 인력은 통상 20~30명 규모로 알려졌다. 대통령경호법에 따라 자진 사퇴나 파면으로 퇴임한 전직 대통령도 경호 예우는 유지된다. 이는 국가 기밀을 다뤘던 전직 국가원수의 안전을 보장하기 위한 조치다. 하지만 과도한 경호는 국민 정서에 반할 수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윤 전 대통령의 서초동 자택 이동은 '관저 정치' 논란을 잠재우고 새로운 시작을 알리는 신호탄이 될 수 있을까. 향후 거처 문제와 경호 규모 등 풀어야 할 과제가 산적해 있다. 윤 전 대통령이 전직 대통령으로서 품위를 지키고, 사회에 기여하는 모습을 보여줄 수 있을지 국민들의 시선이 쏠리고 있다. 이번 퇴거를 계기로 과거의 논란을 딛고, 국민 통합에 기여하는 행보를 보여줄 수 있을지 주목된다.
기사 장시현 기자 Jjangsihyun@newsonul.com